항성의 분류 및 진화에 관한 사실 2가지



항성의 분류 및 진화

항성의 분류 및 진화 : 항성의 분류

항성은 여러 가지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습니다. 가장 일반적인 분류 방법은 크기와 온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항성의 분류 및 진화에 관하여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크기에 따른 분류]

1. 초소형 항성 (Brown Dwarf)

충분히 높은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지 못하여 핵융합 반응을 시작하지 못하는 천체입니다. 핵심 주위의 수소가 주로 분자 형태로 존재합니다.

2. 주형 항성 (Main Sequence Star)

핵심에서 수소 핵융합이 일어나는 항성으로, 대부분의 항성이 이 범주에 속합니다. 질량에 따라 여러 하위 분류로 나뉩니다.

***헬륨 핵융합

별이 늙어 가면서 내부의 수소를 거의 다 소진하고, 내부 온도가 1억 화씨온도에 달하게 될 때, 헬륨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며 베릴륨-8을 거쳐 탄소를 만들어낸다고 한다. 여기서 헬륨 핵융합이란 관여하는 원자핵이 헬륨이라서 핵융합이라고 한다.

3. 거대 항성 (Giant Star)

주형 항성이 수소를 다 소모하고 헬륨 핵융합이 시작되면 크게 팽창하는 항성입니다.

4. 초거대 항성 (Supergiant Star)

거대 항성보다 더 크게 팽창한 항성으로, 헬륨 핵융합과 더 무거운 원소들의 핵융합이 진행됩니다.

[온도에 따른 분류]

O, B, A, F, G, K, M 분광형

항성의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특정한 선들의 형태에 기반하여 분류되며, 이는 항성의 온도와 연관이 있습니다. “O” 형은 가장 뜨거운 항성을 나타내고, “M” 형은 가장 차가운 항성을 나타냅니다.

항성의 분류 및 진화 : 항성의 진화

항성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다양한 단계를 거치며 진화합니다.

1. 분자 구름 내 형성

항성의 진화는 분자 구름 내에서 시작됩니다. 중력이 작용하여 가스와 먼지가 압축되어 원자핵 클라우드를 형성합니다.

2. 주형 항성 단계

원자핵 클라우드에서 중앙 영역의 압력과 온도가 상승하여 수소 핵융합이 시작됩니다. 이 때부터 항성은 주형 항성이라 불리며, 수소 핵융합 반응을 통해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이 단계에서 주요한 에너지원은 수소입니다.

3. 거대 및 초거대 항성 단계

수소가 소진되면 핵심 주변의 헬륨 핵융합이 시작됩니다. 이로 인해 핵심은 팽창하며 항성은 거대 항성이나 초거대 항성으로 진화합니다.

4. 적색 초거대 및 최종 단계

헬륨 핵융합도 마치면, 더 무거운 원소들의 핵융합이 시작됩니다. 이 때 항성은 적색 초거대나 빨간 거성으로 변하게 됩니다. 더 이상 핵융합 반응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 중력에 의해 항성은 붕괴하며, 이 과정은 초신성 폭발로 끝나기도 합니다.

이렇게 항성은 다양한 단계를 거치며 변화하고, 질량에 따라 다양한 최종 운명을 맞이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항성의 분류 및 진화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항성의 생성 주기에 관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성의 생성 주기 정보 바로 보고 싶다면 CLICK!!

항성에 관한 더 자세한 정보 CLICK